목록life (114)
2e2e
몇해 전 it 대기업에서 극단적 선택이 있었다.과도한 업무와 실적, 동료 평가에 대한 부담감에 따른 선택이었다.나는 그 사건을 이야기 해준 동료에게 이렇게 외쳤다.“아니, 그냥 그만 두면 되잖아!”그 회사가 뭐길래, 그 동료들이 뭐길래. 세상은 훨씬 더 넓지 않은가.뭐 조금 더 작은 기업이면 어떤가. 조금 다른 일이면 어떤가.그 회사, 그 일이 아니면 정말 안되는 것이었나.그의 자세한 사정을 몰라서 하는 말 맞다.하지만 그 말은 나 스스로에게 던지는 충고이기도 했다.나도 살면서 문득 ‘아 그냥 가다가 사고라도 났으면’ 혹은‘이제는 정말 그만하고 싶다’는 마음이 든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혹시 우울하거나 두려운 일요일을 맞았다면, 극단적 선택에 이르는 꼬리를 물기 전에다른 의미로써 여러 ‘극단적’ 상상을 하..
참으로 교양있는 21세기 우리 사회에서는 '잘 참는게' 미덕이다.어려서부터 그렇게 학습되어 왔다.그래서 나는 누군가의 무모한 말에, 무례한 태도에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했다."참는 게 이기는 것이다""지는 게 사실 이기는 거야"결국 참는 사람, 참지 않는 사람 모두 "승리"하는이상한 정신승리 논리를 펼치면서 말이다. 2019년 여름.첫 취업으로 상경 했던 때, 모친보다 한 살 어린 대표는결국 내 안에 내재되어있던 봉인된 화를 터트렸다.나는 도대체 무엇에 그렇게 화가 났을까? 여러 에피소드가 있었지만 하나의 공통점을 꼽자면,대표는 본인이 반드시 이겨야 하는 고집이 있었다.그것이 프로젝트 회의건, 사적인 대화건 대립되는 의견에 대해서본인의 주장이 반드시 이겨야만 끝이 났다.그래서 프로젝트 리뷰도 시작됐다 하..
나는 어릴 때 출중하다는 말을 별로 듣지 못하였다.다만 유별나게 남에게 지는 것을 싫어했다고 한다. '옳지, 서울 가서 공부하자.' 매사에 성급하지 말아야 한다.무리하게 사물을 처리하려 들면 안 된다. 선친은 나에게 공부를 강요한 적이 없었다.그러나 처세훈(사필귀정-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데로 돌아감)과 함께 늘 강조한 것은거짓과 꾸밈은 개인에게나 국가, 사회에도 대환이라는 것이었다. 비록 손해를 보는 일이 있더라도신용을 잃어서는 안 된다. 노怒할 줄 모르는 자는 어리석다.그러나 노할 줄 알면서 능히 참는 자는 현명하다고 한다. 사람은 일생을 통해 몇 번은 전기(전환점을 이루는 기회나 고비)를 맞는다.스스로 그것을 만드는 때도 있지만 느닷없이 찾아올 때도 있다. 사업이란 무엇인가..
팀원들과 점심식사 후 카페에 들렀다. 곧 할로윈데이인지카페 테이블엔 호박 얼굴 모형이 놓여있었다. 그때 직장 선배가 물었다."요즘 친구들은 할로윈데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요?"그 말인즉슨 이태원 참사 이후의 할로윈 문화에 대한 물음이었다.그 선배는 아이가 있다. 아이는 최근 매체에 할로윈 소재가 뜨는 것을 보고선배에게 무엇이냐 물었지만 설명을 하기가 난처했다는 것이 선배의 에피소드였다.젊은 친구들은 나를 포함해 네 명이 있었지만, 쉽게 이야기를 꺼내지 못했다.나는 쉽게 이야기를 꺼내지 못하는 이 분위기가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 먼저 운을 떼었다."할로윈데이와 참사는 별개라고 생각해요"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카뮈가 쓴 이방인의 첫 문장이다.누군가의 죽음에 슬퍼 해야하는 것은 ..
강물같은 마음은 막을 수 없는 노릇이다.결국엔 제 알아서 가장 큰 강에 닿아 편안함에 이를 것이다.흘러가면 그것이 길인 것이다.
일 년에 고작 며칠,하는 일 없이 먹고 쉬다 일찍 올라가 봐야 하는 장손은한평생 꼬박 일하고 매끼 밥상 내오는 딸의 눈물방울까지 싹싹 긁어다 훔쳤다.진정 오랫동안 곁에서 보살펴준 사람을 몰라보는 것은 우리의 오랜 전통이다.
우리는 재미있는 일 가운데 가장 재능있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한다.가장 재능있는 것과 가장 재미있는 것이 일치할 수도 있으나결국 직업이라는 것을 가진 시점에서 가장 재미있게 느껴지는 것은직업이 아닌 취미라는 것들이다.그냥 재미가 없어진다.생계 수단인 것이다.싫어져도 쉽게 떠날 수는 없다.우리의 가장 큰 무기는 직업이다. 가장 큰 무기는 곧 약점이 된다.개그맨이 무대에서 음이탈을 하는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으나웃기지 못했다면, 그보다 치명적인 것은 없다.직업이라는 것의 속성이 그런가보다.문제 없이 잘 해나가고 있다 하더라도,도처엔 언제나 뛰어난 자들이 차고 넘친다.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설 자리를 밀어내는 열등감과또 하루를 문제없이 소화해야 하는 부담감 속에서출근을 해야 할 동기를 주는 것은 무엇일까. 취미와..
편집은 결국 의미의 밀도를 높여가는 과정이다. 데이터를 이야기로 바꾸고, 사실에서 통찰을 끌어내는 행위이다. 이해할 수 없는 소음은 고통이지만, 의미가 이해되면 그때부턴 제법 들을 만해진다는 사실을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의미를 손에 쥐면 같은 현실을 다르게 살 수 있었다. 스마트폰과 SNS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2010년 이후의 변화를 요약하자면 이 두 문장이 아닐까. '기업, 개인, 사물... 모든 것이 미디어가 되었다' 그래서 '볼 게 너무 많다' 2010년대부터 신문과 잡 지는 손꼽히는 사양 산업이 되었고, 불안과 무기력이 짙은 안개처럼 업계 전체를 덮쳣다. 하지만 나는 생각이 조금 달랐다. 잡지가 망해가는 게 아니고, 세상이 온통 잡지화하는 걸로 보였기 때문이다. (...) 설사 종이 잡지가 사라진..
생애 가장 시간이 안갔던 때는 단연 군시절을 꼽을 수 있다."아직도 시간이 이것 밖에 안 지났나.."하루하루가 길고 질겨 도저히 삼킬 수가 없었다.마냥 나빴던 것만은 아니다.한 편으론 수명이 길어진 느낌이 들기도 했는데,시간이 빨리 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사실빨리 죽음에 다다르고 싶다는 말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킬링 타임용이다"그래서 난 군 전역을 이후로 이 말이 참으로 어리석게 들리기 시작했다.매 시간 일분 일초가 다 값져야 한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시간을 죽인다는 섬뜩한 관용적 표현 자체에 대해 말이다. 언제부턴가는 명절 오후 고속도로가 반갑기 시작했다.눈코 뜰 새 없이 죽음을 향해 가속 페달을 밟아대는 내 시계가속도를 늦추어 하루를 음미하는 기회를 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지난 30여 년간 내게 아침이란11m 막타워나 다름 없었다.공수 훈련을 위해 훈련소에서 내던져지는 막타워 말이다.한 발만 내딛으면 끝나버리는 건데, 5분만, 10분만을 미루게 되는 것은아침의 높이 또한 인간이 가장 큰 공포를 느낀다는 11m이기 때문이지 않을까.아침에 눈을 뜨기 싫다는 건 삶에 대한 동기가 없다는 것. 어쩔 수 없이 매일 아침을 맞이해야 한다면 세상이 나를 깨우는 것보다내가 세상을 깨우는 편이 조금 더 낫다.일찍 일어나면 내가 세상을 깨우는 느낌이고늦게 일어나면 세상이 나를 깨우는 기분이다.아침을 미루고 미루다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건회의 시간, 여유롭게 커피도 일찍 내리고 안건 내용도 미리 살펴본 사람들 사이에헐레벌떡 착석한 기분이랄까. 타인의 시간을 좇는 기분은 온종일 지속된다. 세..